내 이름을 경외하는 너희에게는 공의로운 해가 떠올라서 치료하는 광선을 비추리니 너희가 나가서 외양간에서 나온 송아지 같이 뛰리라(개역개정 말4:2)
내 이름을 경외하는 너희에게는 의로운 해가 떠올라서 치료하는 광선을 발하리니 너희가 나가서 외양간에서 나온 송아지 같이 뛰리라(개역한글 말4:2)
처음 성경이 잘못되면 두번째 성경은 처음 성경의 오류를 상속하는 경우가 매우 흔하다.
우리 성경에는 번역하다가 빼먹었지만, 원문의 "공의로운 해"는 날개 달린 해였다.
날개 달린 해는 고대 중동지역 전역에서 흔히 사용되는 상징물이었고,
하나님의 보호하심을 의미했다. 이집트의 날개달린 풍뎅이와 비슷한 의미였다.
가톨릭 성경은 아래와 같이 번역했다.
그러나 나의 이름을 경외하는 너희에게는 의로움의 태양이 날개에 치유를 싣고 떠오르리니
너희는 외양간의 송아지들처럼 나와서 뛰놀리라.(말라기 3:20)
우리 성경의 말라기 4장 2절은 가톨릭 성경의 3장20절에 해당한다.
천주교 성경 번역도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이 구절은 ESV 성경이 가장 번역이 잘 된 것으로 보인다.
But for you who fear my name,
the sun of righteousness shall rise with healing in its wings.
You shall go out leaping like calves from the stall. (ESV 3:20)
모든 현대 번역문들은 정해진 시간에 쫓기며 작업을 하는 위원회들이나 성경 전체를 원문으로 그렇게 아주 잘 알 수 없어서 모든 대목에서 흠 없는 번역을 할 수 없는 개인들에 의해 진행된다. (All the modern translations -and all the ancient ones for that matter- have been produced either by committees working against time deadlines or by individuals who cannot possibly know the whole Bible so well in the original that they produce flawless
renderings at every point (Old Testament Exegesis by Douglas Stuart. p39).
그래서 성경을 공부한 사람들은 관용으로 눈으로 오역을 바라봐 주기도 해야지만,
동시에 잘못된 번역은 반드시 짚고 넘어야 할 의무도 있다. 일점일획이 중요한 하나님의 말씀이기에.
아래 사진은 히스기야 왕의 인장이다.

인장에는 "לחזקיהו [בן] אחז מלך יהדה"
"Belonging to Hezekiah [son of] Ahaz king of Judah"
라고 적혀 있고 양쪽에 생명과 장수를 상징하는 고리달린 T가 있다. 왼쪽 것은 거의 떨어져 나가고 없지만.
https://mfa.gov.il/mfa/israelexperience/history/pages/impression-of-king-hezekiah-royal-seal-discovered-2-dec-2015.aspx?fbclid=IwAR16GgKvAECaz2VkDl0cHaGZ36v-AWcrZWvDDuO3rDpctsWeKDyRaR8WF8k